특집 - 국가 책임교육의 출발, 유보통합
특집 ① 질 높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유보통합’
특집 ② 위례아이숲어린이집, 서울송파위례유치원 탐방! ‘우리 모두의 아이’를 위한 첫 번째 자람터
특집 ③ 학부모의 목소리를 듣다
특집 ④ 유보통합으로 ‘책임교육·돌봄’ 실현
특집 ⑤ 해외에서는 어떻게 유아교육·보육이 이뤄질까?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올해 국가장학금 4조 4,447억 원 지원
초등학교 주변 안전한 통학로 만들어요!
“다시 시작되는 학교, 안심하고 보내세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2025년부터 유보통합이 교육부와 교육청 중심으로 본격 시행됩니다
김경성 푸른나무재단 이사장 - 학교폭력 예방은 아픔을 공감하는 훈련에서 시작
괴산군 청소년문화의집 봉사동아리 ‘은가비’ - “모든 인생은 역사가 된다”
로봇 윤리학자_ 김종욱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로봇에게 윤리란 필수 불가결한 일이죠”
갈등을 관리하는 최선의 길
3년 만에 벗은 마스크, 이젠 소통이 필요한 때
다산 정약용과 강진 백운동 원림이 차茶로 맺은 인연
‘댕댕이’는 ‘커엽’다
환경과 융합한 지리 교과캠프 - ‘우리 동네 에코매핑’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 콘퍼런스 - 기후위기 최선의 대처법, 교육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염원 담아 연 날립니다!
특성화고 졸업생, 새내기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우리집 소화기, 어디에 있을까요?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으로 기초학력진단체계 고도화 실현
졸업을 축하합니다(Tonight is your night)!
활동 중심 수업 'The. 미.나.리.게임'을 소개합니다
학생작가 양성으로 생활 인문 교육 꽃피우다
단성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바뀐 첫 해, 입학식 풍경~
저자 인세 기부, 체육 선생님들의 선한 영향력
이달의기사 전체보기
글·사진 송민희 명예기자
장동선 박사 사회로 진행된 환경교육 실천 토크콘서트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주관한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 콘퍼런스’가 지난 2월 15일 오전 10시부터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콘퍼런스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더 나은 삶과 교육을 논의하는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렸다. 행사의 포문을 연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장은 “우리 모두 지구 생태환경을 잘 아끼고 보존하여, 미래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삶의 터전으로 물려줄 책임이 있다.”라며, 교육기본법 제22조 2(기후변화환경교육)가 신설됨으로써 모든 국민이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 전환교육에 참여해야 할 의무를 강조했다. 박창원 교육부 인성예술체육교육과 과장은 “이번 콘퍼런스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희망은 교육에 있음을 깨닫고 전 세계가 함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실천을 다짐하기 위해 개최되었다”라고 전했다. 이어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어른뿐 아니라 미래세대인 학생들이 지속 가능한 발전과 탄소중립을 위한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한국·호주·핀란드의 환경교육 첫 번째 세션에선 ‘현 단계 학교 환경교육의 도약을 위한 의제’란 주제로 이선경 교수(청주교육대학교), 앨런 리드 교수(호주 모나쉬대학교), 에시 아르니오 린나부오리 교수(핀란드 템퍼레대학교)가 국가별 학교 환경교육과 방향성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를 했다. 한국, 학교 전체적인 접근 필요 이선경 교수는 ‘기후위기 시대, 학교 교육과정과 환경교육’이란 주제 발표에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환경교육의 방향성이 제대로 서 있지 않다고 지적하고 환경교육의 방향, 고려 요소, 접근 방법 등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는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은 단순히 가르치고 배우는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학교 전체적인 접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