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국가 책임교육의 출발, 유보통합
특집 ① 질 높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유보통합’
특집 ② 위례아이숲어린이집, 서울송파위례유치원 탐방! ‘우리 모두의 아이’를 위한 첫 번째 자람터
특집 ③ 학부모의 목소리를 듣다
특집 ④ 유보통합으로 ‘책임교육·돌봄’ 실현
특집 ⑤ 해외에서는 어떻게 유아교육·보육이 이뤄질까?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올해 국가장학금 4조 4,447억 원 지원
초등학교 주변 안전한 통학로 만들어요!
“다시 시작되는 학교, 안심하고 보내세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2025년부터 유보통합이 교육부와 교육청 중심으로 본격 시행됩니다
김경성 푸른나무재단 이사장 - 학교폭력 예방은 아픔을 공감하는 훈련에서 시작
괴산군 청소년문화의집 봉사동아리 ‘은가비’ - “모든 인생은 역사가 된다”
로봇 윤리학자_ 김종욱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로봇에게 윤리란 필수 불가결한 일이죠”
갈등을 관리하는 최선의 길
3년 만에 벗은 마스크, 이젠 소통이 필요한 때
다산 정약용과 강진 백운동 원림이 차茶로 맺은 인연
‘댕댕이’는 ‘커엽’다
환경과 융합한 지리 교과캠프 - ‘우리 동네 에코매핑’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 콘퍼런스 - 기후위기 최선의 대처법, 교육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염원 담아 연 날립니다!
특성화고 졸업생, 새내기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우리집 소화기, 어디에 있을까요?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으로 기초학력진단체계 고도화 실현
졸업을 축하합니다(Tonight is your night)!
활동 중심 수업 'The. 미.나.리.게임'을 소개합니다
학생작가 양성으로 생활 인문 교육 꽃피우다
단성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바뀐 첫 해, 입학식 풍경~
저자 인세 기부, 체육 선생님들의 선한 영향력
이달의기사 전체보기
교육부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이하, 라이즈(RISE))를 구축하기 위해 3월 초까지 라이즈(RISE) 시범지역을 5개 내외로 선정하고, 2025년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지역에서는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지정을 통한 맞춤형 규제 특례, 일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지역 주도로 재정지원 또는 지자체 연계 강화, 교육부와 공동 설계·조정(Co-Design)을 통한 협약안 마련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아울러, 교육부는 LINC 3.0(산학협력), LiFE(대학평생교육) 등 지자체와의 협력이 중요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을 2025년부터는 라이즈(RISE)로 통합하여 지원하고,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의 50% 이상을 지역 주도로 전환할 계획이다. 지역 성장을 견인할 지역대학은 글로컬대학으로 선정해 올해 10개 내외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비수도권 모든 지역에 총 30개 내외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2월 8일 ‘2023년 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총 4조 4,447억 원을 국가장학금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장학금 지원사업 4조 286억 원, 대학생 근로장학사업 3,677억 원, 우수학생 국가장학사업 484억 원이다. 또한 올해부터는 국가장학금 선발 시 성적 기준을 폐지한다. 기초·차상위 고등학생을 선발하여 해외 유학을 지원하는 ‘드림장학금’의 경우에는 2023학년도 2학기부터 성적 기준을 완화한다. 지역인재 장학금 지원 자격은 학자금 지원 9구간까지 확대하는 한편, 다자녀 장학금 지원 대상은 청년 중심으로 개선한다. 이에 따라 올해 2학기부터 다자녀 장학금 지원 대상은 법령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등에서 청년 나이로 규정하고 있는 만 39세 입학자까지로 한정하고, 만 40세 이상 입학자는 국가장학금 Ⅰ유형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근로장학생이 근로하는 근로기관 담당자 대상 필수 교육에 성희롱, 갑질 관련 내용을 추가키로 했다.
교육부는 2월 22일 열린 제1차 현장방문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등하굣길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등 초등학교 주변 안전한 통학로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는 학교 인접도로(통학로)에 보행 공간을 조성하고, 정부합동 통학로 안전점검을 체계화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담았다. 먼저, 중앙부처, 지자체, 교통안전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어린이 교통안전 관계기관 협의체’를 운영하고, 통학로 교통안전을 위한 정부 합동점검을 체계화한다. 보행로 확보와 관련해서는 인접도로(통학로)에 보도가 없는 학교의 경우, 학교 담장이나 축대를 이전하는 등 학교부지를 활용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보도를 설치한다. 학교 부지 활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대체도로가 있는 양방 통행 구간을 일방통행 구간으로 지정하거나 시간대별 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2월 22일 ‘새 학기 안전한 학교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게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했다. 이번 방안은 새 학기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온전한 일상회복 추진으로 교육활동이 본격 정상화됨에 따라, 학기 초 즉시 적용·시행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먼저, 학교폭력 조기 감지를 위해 학교-경찰서-유관기관 간 공동대응체계를 강화하고, 학교 내 불법촬영 근절을 위한 예방·점검대책을 마련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학교 시설 안전점검, 어린이 통학로 안전점검, 학교 안전교육과 응급처치교육도 강화한다. 학교의 온전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학 후 2주일을 ‘학교 방역 특별지원기간’으로 지정하는 등 건강한 학교 구현을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이 외에도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대응 강화,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로의 개편 등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 교과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키로 했다. 디지털교과서는 교과의 특성에 맞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과목부터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하며 인간적으로 지도하는 선도 교사단을 양성한다. 선도 교사단은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맞춤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연결을 강화하며 교실 수업의 변화를 이끌게 된다. 교육부는 방학 중 집중 연수 등을 지원하여 교사들의 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한국교육개발원을 ‘디지털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하여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기술의 교실 적용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학교 300개교를 운영한다. 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전까지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디지털 기기 및 학교 무선망도 지속 점검키로 했다. 디지털 교육 대전환에 대한 비전과 핵심정책을 국민에게 공유하기 위해 열린 디지털 교육 비전 선포식 (2. 22. 정부세종컨벤션센터)
다문화 학생, 강점을 살려 진로를 찾다!
교육부는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탐색 지원을 위해 ‘직업탐구 별일입니다’ 시즌3 ‘다문화 직업인편’ 총 20편을 개발·보급한다. ‘직업탐구 별일입니다’ 시즌3은 다문화가정 출신 학생·직업인의 고유한 경험과 강점 사례를 중심으로 개발된, 편당 15분 내외의 진로교육 콘텐츠로서, 1월 23부터 매주 월·화 2회씩, 10주간 진로교육 온라인 누리집 커리어넷과 유튜브 채널 교육부TV를 통해 공개되고 있다. 시즌3에서는 다문화 고등학생 3명, 다문화 대학생 5명, 다문화 직업인 13명이 진로탐색 및 설계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웠던 점과 극복 사례 그리고 다문화인의 강점을 활용한 사례를 현장 탐방형 미니 다큐형식으로 공유한다. 1편인 고양시 성저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바수데비 선생님부터 시작해 앞으로 용접사, 변호사, 화가, 간호사, 대학생 등 다양한 다문화 학생과 직업인의 진로탐색 과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대구예아람학교 ‘최우수 교육시설’로 선정
대구예아람학교 특수학교(중축)가 2022년도 대한민국 우수 교육시설 공모전에서 최우수 교육시설로 선정됐다. 부산명지꿈자람유치원, 서울경희여고 본관동은 신축, 리모델링 부분으로 각각 우수상을 받았다. 교육부는 주최하는 대한민국 우수 교육시설 공모전은 학교 공간을 창의적으로 조성하고, 공간구성·디자인 등이 우수한 교육시설을 발굴·확산하기 위해 1998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최근 2년 이내에 신축, 증축, 개축 및 리모델링한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했으며, 심사 결과 총 3개 교육시설을 각각 최우수, 우수 교육시설로 선정했다. 최우수작인 대구예아람학교는 학생과 지역주민이 공유하는 문화·예술 공간 조성, 부산명지꿈자람유치원은 내·외부 공간의 적극적인 연계, 서울경희여고 본관동은 사용자 의견수렴을 통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공간 조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