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과정 중심 평가의 실천을 위한 방안

글_ 이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우리가 경험했던 학교에서의 ‘평가’를 회상해 보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면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모습은 다양하겠지만, 정해진 시간 안에 시험지를 푼 후 점수가 기재된 성적표를 가슴 졸이며 기다리던 기억이 대부분일 것이다. 과정 중심 평가는 그 공통의 기억으로부터 촉발하였다. 지금까지의 평가가 ‘점수’로 상징되는 최종적인 산출물만을 중시하는 ‘변별을 위한 평가’였다는 문제의식이 싹트면서, 평가를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꾀하게 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평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평가’인데, 이는 교육과정 문서 구성의 변화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이전 교육과정과 달리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부문에 “평가” 항목을 신설하였는데 이는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인식을 반영한다. 특히,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을 평가하여 모든 학생이 교육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서술한 부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결과 중심이었던 과거의 평가관이 아닌 과정까지 중시하는 확장된 평가관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같은 관점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용어가 ‘과정 중심 평가’인 것이다.
  물론, 이러한 평가관의 도입이 ‘결과’에서 ‘과정’으로 용어만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관점의 차이와 함께 구체적인 실천 방안까지 제시되어야 한다. 사실, 결과 중심 평가에 대한 비판이야 오래 전부터 꾸준했고, 그에 따라 교사와 연구자들도 대안적 평가를 모색하거나 실천해 왔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과정 중심 평가는 ‘오래된 미래’같이 느껴지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정 중심 평가는 분명 이전의 평가와는 차별화되는 지점을 지닌다. 그 지점들을 명확히 해야만 이전의 평가와 괴리되지 않으면서도 전보다 진화된 평가를 실행할 수 있다.

 

 

  실천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교실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내용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첫째,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
  평가 실천을 위해서는 우선 평가 설계를 해야 한다. 평가 설계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평가 목적과 대상, 평가 시기와 횟수 등을 결정한다. 과정 중심 평가 시 가장 유의할 점은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평가 문항이나 채점 기준 개발의 용이성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로서의 성취기준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취기준과 목표의 일관성 강화는 학습 목표의 성취에 평가가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둘째,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과정 중심 평가는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즉 교수·학습과 연계된 평가를 지향한다. 최근 학생에게 부과하는 과제가 ‘엄마숙제’가 되고 있다는 세간의 지적은 교실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교실 안 교수·학습 과정 중에 평가가 이루어지면 학습자 개인의 사회·경제적 맥락이나 조건들이 영향을 미칠 여지가 줄어들어 보다 공정한 평가가 가능한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성취기준에 근거한 수업 속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 간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과제 수행 과정의 평가
  과정 중심 평가에서 평가의 대상은 학습자의 과제 수행 과정이다. 과정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은데, 역으로 과정이 왜 강조되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정을 평가하려는 것은 학습의 목표로 삼은 지식이나 기능, 태도가 학습자에게서 어떻게 발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평가 대상인 과제 수행 과정은 하나의 과제를 수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지칭할 수도 있고, 어떤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하는 여러 과제를 지칭할 수도 있는 것이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하나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 기능, 태도가 동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과제 수행을 통해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이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과제의 특성이나 수행 절차상 지식, 기능, 태도 중 특정한 영역이 두드러지거나 여러 영역이 통합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논술, 구술, 토론·토의, 프로젝트, 실험·실습, 선택형 문항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학습자의 성장을 위한 평가 결과의 활용
  과정 중심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성장을 위해 평가 결과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학습자의 발달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학습자의 부족한 점을 채워 주고, 우수한 점을
심화·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평가의 결과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통지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수업과 평가로까지 환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고 성찰할 수 있고, 교사는 수업과 평가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과거 ‘변별을 위한 평가’로부터 탈피해 ‘학습을 위한 평가’를 지향한다. 학습에 기여하는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성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과정 중심 평가는 지금까지의 평가를 쇄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그러나 거듭 개정되는 교육과정과 맞물려 평가의 변화에도 발맞추어야 하는
교사들의 부담은 적지 않다. 과정 중심 교육과정의 취지와 의미가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교육과정의 안착과 평가의 쇄신은 결국 교사들의 손끝에 달려 있다. 이것이 교사를 위한 유·무형의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다. 

 

—————————————————————————


참고문헌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1], 교육부.
한혜정 외(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중·고등학교) 개발 연구(연구보고 CRC 2015-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연구자료 ORM 2016-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