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 인공지능 교과서 시대를 준비합니다”
특집 ① 인공지능 시대, 질문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맞춤교육이 필요하다
특집 ② 학생 맞춤교육 실현의 열쇠, AI 디지털교과서에서 찾다
특집 ③ 500만 학생을 위한 500만 개의 교과서 ; AI 디지털교과서로 달라지는 10가지
특집 ④ 교육 분야 인공지능 데이터 윤리 ; 콩과 팥 그리고 데이터
특집 ⑤ 성공적인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위해 고려할 사항
특집 ⑥ 디지털 선도학교 운영을 위한 제언
특집 ⑦ 나는 디지털 기반 수업혁신을 이끄는 ‘터치교사단’이다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
영유아 보육 업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으로 이관
교원 학생생활지도 고시 제정…조언·주의·훈육·보상 방식 구체화
이제껏 본 적 없는 'AI 디지털교과서'가 찾아옵니다!
이광형 카이스트(KAIST) 총장 ‘질문왕’을 키우는 AI 시대 교육 혁신
경남 보광고등학교 독서토론 동아리 ‘보광신기’ - ‘왜?’라는 질문 품고 치열하게 읽고 토론하다!
인공지능(AI) 엔지니어 민옥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지능창의연구소 소장 “ 인공지능으로 더 윤택한 삶을 만들어 갑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디지털 시대 공업교육 재구조화 방향 및 과제
물길 따라 걷는 영동 쉼표 여행
생각이 머무는 책 속 단어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의 개념과 핵심성취기준 - 미디어를 제대로 보고 읽고 사용하기
2023년 미래교육 국제콘퍼런스 - 인공지능으로 여는 개별화 교육 시대
운명의 등교 레이스
중증 장애인 가족의 행복과 희망 일터 ‘카페위(Cafe We)’
아동이 직접 참여하고 선택하는 나눔마켓 ‘초록이점빵’을 아시나요?
도봉형 초등방과후지원센터 '모두 잇'
대구광역시교육청 - 미디어 문해교육 선도하는 전국 1호 학교미디어교육센터
이달의기사 전체보기
[행복한교육 2023년 03월호]
교육부는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 교과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키로 했다. 디지털교과서는 교과의 특성에 맞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과목부터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하며 인간적으로 지도하는 선도 교사단을 양성한다. 선도 교사단은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맞춤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연결을 강화하며 교실 수업의 변화를 이끌게 된다. 교육부는 방학 중 집중 연수 등을 지원하여 교사들의 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한국교육개발원을 ‘디지털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하여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기술의 교실 적용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학교 300개교를 운영한다. 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전까지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디지털 기기 및 학교 무선망도 지속 점검키로 했다.
디지털 교육 대전환에 대한 비전과 핵심정책을 국민에게 공유하기 위해 열린 디지털 교육 비전 선포식 (2. 22. 정부세종컨벤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