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대학-학생-산업계를 링크(LINC)해온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상생 성장을 위한 ‘초연결·초융합 산학모델’ 창출하는 LINC 3.0으로 도약

신태연 교육부 산학협력일자리정책과 사무관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팬데믹 상황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디지털 전환을 촉발하며 경제·사회적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신산업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산학연협력은 미래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혁신적 기술개발을 선점하는 핵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초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와 수도권 인구 집중으로 비롯되는 지방대학의 위기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산학연협력은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는 생존전략으로도 강조되고 있다. 



LINC(1단계, ’12~’16)와 LINC+(2단계, ’17~’21)

대학-학생-산업·지역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온 10년

  그동안 교육부는 ‘학문의 상아탑’이었던 대학사회에 산학연협력을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이어왔다. 기존의 3개 산학협력 지원사업들을 통합하여 ’12년 출범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1단계 LINC, ’12~’16)과 이를 확대·개편하여 ’17년 시작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2단계 LINC+, ’17~’21)은 대학 산학연협력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으며 대학의 산학연협력 추진역량의 비약적 성장을 지원해왔다. 올해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2단계 LINC+)사업의 5차 연도로 사업이 마무리되는 해이자, ’22년 출범할 ‘(가칭)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LINC 3.0)’ 사업을 위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할 시점이다. 


  ’12년부터 지금까지 추진된 LINC사업의 핵심 목표는 ‘대학의 체질을 산학협력 친화적으로 혁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산업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 다양한 기업지원 활동, 취·창업 지원을 비롯하여 조직, 제도, 인력 등 혁신이 필요한 모든 부문을 종합 지원한다. 각 대학은 강점과 특성, 지역의 여건 등을 반영하여 자율적으로 그 대학과 지역에 특화된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산학협력을 다각도로 추진한다.


  현재 추진 중인 2단계 LINC+사업은 산업선도형 대학 육성을 지원하는 ‘산학협력 고도화형’과 취업과 밀접하게 연계된 사회맞춤형학과 도입·확산을 지원하는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으로 구분되어 추진 중이다. ’21년 일반대 55교 및 전문대 15교가 추진 중인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계 교육과정을 확산하여 현장적응력이 높은 인재를 양성하는 동시에,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기업의 기술 및 경영 혁신을 지원하여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산학협력 활동을 추진한다.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일반대 20교 및 전문대 40교가 참여하여 협약기업과 함께 ‘학생선발→맞춤형 교육과정 구성·운영→채용’까지 협력하는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체제(사회맞춤형학과)를 확산하고 있다. 


  1~2단계 사업이 추진되면서 현장실습, 캡스톤 디자인 등 산업 수요를 반영한 산학연계 교육은 대학교육의 표준으로 보편화 되었다. LINC+(산학협력 고도화형) 사업을 통해 일반대학에서 개발·운영된 산학연계 교육과정은 ’12년 2월 670개에서 ’21년 2월 2,424개로 증가했고, LINC+사업 참여대학을 포함한 전체 대학에서 ’19년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이수학생 수는 약 26만 명으로, ’12년 대비 3배가량 증가하였다. 2단계 사업을 통해 본격 확산된 ‘사회맞춤형학과’는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을 기업의 요구에 맞게 재편하는 동시에 협약기업으로의 채용까지 연계함으로써 학생의 취업 경쟁력을 끌어 올리고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기사 이미지



  한편, LINC+사업은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우수 인재 양성 노력과 더불어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산업체와 지역사회 혁신에도 이바지해왔다. 사업 참여대학은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과 공동연구·기술개발, 기술이전, 공동활용장비 지원, 애로기술 자문 등을 통해 산업체의 기술혁신을 지원해왔다. 특히 LINC+사업에서는 대학이 강점 분야에 특화된 산학협력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대학 내에 ‘기업협업센터(ICC)’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기업협업센터는 특정 산업 분야에 필요한 산학협력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특화 장비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및 재직자 교육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학-기업 간 최신 기술 동향 공유 및 애로기술 지원, 인력양성-기술지원 프로그램 간 연계를 촉진하고 지속성 높은 기업지원체계를 마련했다. 또 산업체와의 기술협력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재난·안전대응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과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지역 현안 해결과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해왔다.


  10년간 1~2단계 사업을 수행하면서 산학협력은 교육·연구를 비롯한 대학의 핵심 기능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산학협력 친화적 문화가 대학에 확산되고 있다. 각 대학은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산학협력 역량을 집중하고 교육, 연구·개발, 지역사회 협력 등 다양한 협력활동들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특화모델을 구축하여 새로운 대학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특히 1단계 사업에서는 산학협력 친화적인 대학 체제 구축에 집중했다면, 2단계 사업에서는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예체능까지 협력 분야를 넓히고 협력의 주체도 확대하여 산학협력의 외연을 확장해 왔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처럼 링크(LINC)사업은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학계-산업계-지역사회가 원할 때 언제나 접촉하고 협업할 수 있는 ‘상시적·지속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면서 중소·중견기업과 대학의 동반성장 경험을 축적해왔다.


기사 이미지


LINC 3.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초연결·초융합 산학모델’로 고도화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내년 새롭게 추진될 ‘(가칭)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LINC 3.0)’ 사업은 그간의 성과와 한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우수성과는 계승하면서 한계점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대학과 산업계 간 협력체계를 보다 긴밀히 하여 대학과 산업계의 실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중장기적 협력활동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산학연협력의 질적 고도화를 통해 ‘선도형 경제로 도약을 견인하는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을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LINC 3.0 사업에서 대학 산학연협력의 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산업에 대비하기 위해 대학 인재양성을 체계화한다.

  첨단산업 등 산업 분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며 교육-취·창업 간 연계성을 제고한다. 디지털 전환 환경에서 비대면·글로벌 산학연계 교육모델을 발굴·확산한다.


둘째,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형 대학을 육성한다.

  기업협업센터(ICC)를 중심으로 대학별 강점 분야의 ‘산학연협력 브랜드화’를 유도하고, 산업혁신을 위한 기업 밀착 지원을 강화한다. 산학연 간 중장기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대학 기술지주회사를 활성화한다.


셋째, 산학연협력 지속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반을 강화한다.

  산학협력 친화형 인사제도를 고도화하여 전임교원의 산학연협력 참여를 촉진하고, 산학협력단 중심으로 추진 조직과 기능을 정비한다. 산업계의 산학연협력 참여 유도를 위해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를 활성화한다.


넷째, 산학연협력 공유·협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수도권-지방, 선도-후발 등 대학 간 연계·협업을 강화하여 우수대학의 산학연협력 성과가 확산되는 공유 생태계를 조성한다.



  LINC 3.0 사업은 일반대와 전문대에 동일한 사업유형을 적용했던 2단계 LINC+사업과 달리, 대학별 특성과 산학연협력 추진역량에 따라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사업 유형별로 추진 전략의 중점사항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대학마다 차별화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사업유형을 개편하며, 일반대 75교, 전문대 59교를 대상으로 총 4,070억 원(’22년 교육부 예산안 기준)이 지원될 예정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