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호
메인기사
기획
정책
현장
정보
시간의 자수가 교차하는 땅, 평창
글_ 강지영 객원기자
전나무 잎이 바람을 연주한다. 그윽하고 잔잔하다. 눈을 밟으며 찾았던 숲에 봄기운이 감돈다. 몽우리를 터뜨린 새싹의 속삭임을 벗 삼아 들어선 오대산 초입, 늘씬하게 뻗은 전나무를 올려다본다. 촉촉한 흙내음이 코를 타고 들어온다. 폭신하고 몽글거린다. 커튼을 걷듯 겨울을 걷어내며 투명한 그늘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문을 넘어섰을 뿐인데 마치 다른 세계로 건너온 듯한 청량감이 발을 타고 올라온다. 코를 지나온 평창의 싱그러운 봄이 폐부를 거쳐 온몸으로 퍼져 나간다. 4월이다, 그리하여 이윽고 봄이다. 이 찬란한 계절에 평창을 찾는다. 월정사 전나무 숲길 바람과 발소리가 전부인 숲을 걷는다. 마스크에 가려져 있던 지난 시간을 되돌려 본다. 침묵을 머금는다. 소리를 내놓지 않는다고 소리를 잃은 것은 아니었을 터. 마스크와 손 세정제를 벽 삼아 나를 그리고 너를 위한 마음을 지켜온 시간이 발자국이 되어 찍힌다. 천 팔백여 그루 전나무가 고적한 여행길의 든든한 벗이 되어 안긴다. 부처님 공양 그릇에 눈(雪)을 떨어뜨려 벌을 받게 된 소나무를 베고 전나무 아홉 그루로 절을 지키게 했다는 숲길의 유래를 곱씹으며 금강교에 이른다. 월정사가 눈앞이다. 다리를 지나 대웅전에 이른다. 대웅전 마당을 지키고 선 팔각구층석탑과 손을 모아 앉은 석조보살좌상.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 재단한 듯 놓인 지상의 사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등을 보이며 앉은 석조보살좌상과 석상을 응시하고 있는 대웅전과 고개를 든 석탑.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더없이 조화롭고 평화롭게 느껴지는 이유는 벽을 친구삼아 살아야 했던 날들을 지나왔기 때문일 것이다. 성보박물관 이효석 문학의 숲 상원사에 담긴 세조 이야기 상원사로 간다. 문수보살을 만난 이후 왕이 되었다는 신라 성덕왕이 지었을 당시의 상원사 이름은 진여원이었다. 이후 진여원은 상원사가 되는데 여기에는 조선 세조의 이야기가 서려 있다. 왕위를 찬탈한 세조는 꿈에서
고래와 용의 기운이 감도는 도시, 울산
글 강지영 객원기자
햇살이 눈처럼 흩날린다. 사방 밝은데 앞이 보이지 않음은 세상이 너무 눈부시기 때문일 것이다. 시간이 굳어버린 것 같았는데. 봄은 세사(世事)를 앞질러 가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앞을 지키고 있었던 모양이다. 이른 봄바람에 회색이 일상을 물들인 날들을 날려 보낸다. 운동화 끈을 조여 맨다. 마스크를 쓰고 봄기운이 넘실거리는 도로를 달린다. 2021년의 첫 만남은 울산이다. 학 두 마리가 금으로 만든 기물을 가지고 노니는 터전이라는 뜻의 ‘학성(鶴城)’이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 울산으로 간다.장생포 고래문화마을 학의 날갯짓이 하늘을 잠재우기라도 한 것일까. 구름 한 점 없는 도시의 하늘은 창연하기 그지없다. 강 같은 도로를 가로질러 대왕암 공원으로 간다. 대왕암 공원은 사후 호국룡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던 문무왕의 무덤인, 경주의 대왕암 전설과 닿아 있는 곳이다. 애국정신이 투철했던 문무왕은 외세의 침입을 우려하여 자신이 죽으면 바다에 능을 만들어 달라는 유언을 남긴다.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의지였다. 실제로 경주 바다에는 문무왕릉인 대왕암이 있다. 문무왕의 호국(護國) 의지는 신문왕의 감은사로 이어진다. 신문왕이 감은사를 지어 금당에 구멍을 내고 해룡이 된 문무왕이 그곳을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는 이야기가 <삼국유사>로 전해져 내려온다. 문무왕 정신과 이어져 있는 또 다른 사연이 울산 대왕암 공원에 있다. 대왕암 공원은 신문왕의 어머니이자 문무왕의 왕비였던 자눌왕후가 숨을 거둔 이후, 남편을 따라 호국룡이 되어 바다를 지키고 있다는 이야기를 머금은 곳이다. 죽어서도 나라를 굳건히 하고자 한 정신을 기리며 솔숲으로 들어선다. 바다 내음이 코를 타고 들어오는데 물은 보이지 않는다. 숲은 바다를 가려놓은 까닭이다. 녹음 짙은 솔(松)의 물결을 벗 삼아 파도 소리를 따라간다.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고 하였던가. 웅크리고 있던 우리네 시간이 역사라는 선산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