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호
메인기사
기획
정책
현장
정보
영어 말하기 교육, ‘펭수’ 만나 똑똑해진다
인공지능 기반 영어 말하기 시스템 ‘펭톡’ 개발 오는 3월 전면 도입 전 현장 교원 대상 연수 실시 교육부와 한국교육방송공사는 인공지능 기반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 ‘펭톡’을 개발, 오는 3월부터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입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초등학생들이 영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듣고, 말하는 환경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기초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지원하고자 2019년 11월부터 개발을 시작하였다. 지난해 1·2차 시범활용을 거쳐 현장의 의견을 수렴·반영함으로써, 연습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한, 실제적인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장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집중 연수도 실시했다. ‘펭톡’은 음성 인식과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지능(AI)과 학생 간 1:1 대화가 가능한 연습서비스를 지원한다.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과 영어교과서 5종, EBS 영어 교육자료(콘텐츠) 등에서 추출한 단어, 문장, 대화를 연습할 수 있도록 발음 교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 등을 활용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관리시스템(LMS), 학급관리시스템(CMS)을 지원하여 학생·학부모·교사에게 학생별 학습상황, 학습결과 분석 내용, 학습 상담 내용(피드백)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며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기캐릭터 ‘펭수’를 활용하였고, 일정량을 학습하면 보상(아이템)을 얻는 게임형 학습 방식을 적용해 성취동기를 느낄 수 있도록 개발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영어 말하기 연습시스템이 현장에서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교사 대상 연수(2회)를 실시할 계획이다. 2차 시범활용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집중 연수를 실시하고, 연습시스템의 선도교원으로 활동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권역별 선도교사를 대상으로 1~
5년간 미래 기능한국인 1,000명 육성한다
우수 취업처에 취업할 수 있도록 연계 및 지원학생들에게 숙련기술 전수 및 장학금 지급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사)기능한국인회가 손을 잡고 미래 기능한국인 육성에 나선다. 세 기관은 고졸취업 활성화 및 미래 기능인재 육성을 위해 1년에 200명씩, 5년간 1,000명의 미래 기능한국인 육성에 협력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코로나19로 고졸 청년 기술인재들의 역량개발과 취업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이와 동시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래 기능한국인을 육성해 나가기 위해 마련하였다. (사)기능한국인회는 미래 기능한국인 육성을 위해 숙련기술 전수, 장학금 지급, 우수 취업처를 발굴하여 취업할 수 있도록 연계하고, 교육부와 고용부는 (사)기능한국인회 회원들의 기업을 ‘현장실습 선도기업’으로 지정하고 관련 혜택(인센티브)을 제공한다. 협약기관 모두는 미래 기능한국인 육성을 위한 전문가 인력 자원 인증·제공, 교육 프로그램 마련·지원 등 시범운영 프로그램의 운영·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고졸취업 활성화, 숙련기술인재가 존중받는 사회 풍토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교육부, 2021년 미래교육지구 신규 12개 선정
교육(지원)청-지자체 협력으로 지역교육 생태계 조성 추진 신규 12개 선정, 기존 10개 포함 총 22개 지구 운영 교육부는 2021년 미래교육지구(미래형 교육자치 협력지구) 사업 공모를 통해 신규로 운영할 12개 지구(서울(서대문), 부산(진구, 북구), 인천(계양), 세종, 경기(오산, 화성, 고양), 강원(인제), 충북(제천), 전북(군산), 경북(의성))를 최종 선정하였다. 지난해 선정된 10개 지구를 포함하여 2021년에는 총 22개 지구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미래교육지구는 교육(지원)청과 지자체의 지속가능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지역 중심의 다양한 교육사업을 연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0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미래교육지구로 선정된 지역에는 지구별로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지원하고, 교육자원을 통합·관리하는 협력체제를 통해 지역에서 크고 자란 아이가 지역의 인재가 되는 지역교육 생태계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특히, 미래교육지구 사업은 5개 부처 지역사회 사업과 정책연계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어, 주민자치회 내 마을교육자치 분과를 설치하는 등 다른 부처 사업과의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다양한 협력모델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교육부는 앞으로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단을 구성하고, 지역 특색사업에 대한 맞춤형 성장 지원, 우수사례 확산과 홍보 등을 통해 성과를 다른 지역까지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대학·대학원 졸업자 취업률 67%로 소폭 감소, 남녀 격차는 증가
의약계열 83.7%로 취업률 최고, 인문계열 56.2%로 최저 남녀 취업률 차이 4년 연속 증가 2019년 대학·대학원 졸업자 취업률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67.1%로 나타났다. 지역별, 성별 취업률 차이는 더 벌어졌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해 12월 29일 ‘201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9년 2월 및 2018년 8월 졸업자 55만 354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2019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했다. 조사 대상자 중 2019년 전체 취업자는 32만 3,038명으로 취업대상자 48만 1,599명의 67.1% 수준이며 전년(67.7%) 대비 0.6%p 감소했다. 분야별 취업자 수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29만 1,929명, 해외취업자 2,853명, 1인 창(사)업자 6,137명, 자유계약자(프리랜서) 1만 8,347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비율은 1.2%p 감소, 개인창작활동종사자 및 자유계약자(프리랜서)는 각각 0.1%p 감소했다. 계열별로는 전체 취업률(67.1%)에 비해 공학계열(69.9%), 의약계열(83.7%)의 취업률은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56.2%), 사회계열(63.4%), 교육계열(62.7%), 자연계열(63.8%), 예체능계열(64.5%)은 낮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의약계열(0.4%p), 예체능계열(0.3%p)은 증가하였지만, 인문계열(-0.9%p), 사회계열(-0.8%p), 교육계열(-1.4%p), 공학계열(-1.8%p), 자연계열(-0.4%p)은 감소했다. 지역별 취업률을 살펴보면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8.7%, 비수도권 취업률은 66.0%로 2.7%p의 차이를 보였다.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68.7%), 인천(70.1%), 대전(68.9
직업계고 전체 취업률 50.7%…마이스터고는 71.2% 기록
공공DB 연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발표정확하고 객관적인 직업계고 취업 통계 정보 제공 2020년 직업계고의 전체 취업률은 50.7%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이 71.2%로 가장 높았으며, 특성화고는 49.2%, 일반고 직업반은 31.6%였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 통계에 대한 첫 번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전국 576개 직업계고등학교의 2020년 1∼2월 졸업자 89,998명을 대상으로 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0.2%, 비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51.0%로 비수도권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0.8%p 더 높았다. 경북(59.6%), 대전(55.3%), 대구(53.7%), 세종(53.3%), 서울(52.2%), 충북(52.1%), 충남(51.7%) 등 7개 시도의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 평균보다 높았다. 취업처 기준으로 살펴보면, 수
영재학교·과학고 입학전형 확 바뀐다
영재학교 간 중복지원 금지, 전형기간 축소문제풀이 과정 평가 확대, 평가 문항 수 축소 교육부가 현재의 영재학교, 과학고 입학전형을 개선하여 학생 선발에서의 평가 타당성 및 적정성을 담보하고, 학교 설립목적에 따른 책무성을 강화한다. 이번 ‘영재학교·과학고 입학전형 개선방안’은 그동안 지적되어 온 영재학교·과학고에 대한 과도한 입학경쟁 및 지식 위주의 평가로 인한 사교육 유발, 교육기회 불평등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2022학년도 입학전형부터 적용된다. 먼저 영재학교·과학고 입학전형을 차별화하고, 학교가 선발하려는 인재상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전형 요소 및 방법을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입학전형 평가 문항을 학교 홈페이지에 공개하도록 하여 입학 관련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과도한 입학경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영재학교 간 중복지원을 금지하고, 응시학생들의 정상적인 중학교&
수능 수험생 여러분, 이것만 꼭 기억하세요!
하나, 올해 수능은 수험생의 상황에 따라 시험장을 별도로 운영합니다. 수험생 상황시험장(시험실)무증상일반 수험생일반 시험장일반시험실유증상시험 당일 발열 등 유증상 수험생별도시험실확진자코로나19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중인 수험생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격리자격리통지 기간에 시험일이 포함된 수험생별도 시험장 둘, 확진 수험생은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수험생은 별도 시험장에서 시험을 응시합니다. 따라서 수능 지원자는 확진 또는 격리 통보를 받은 즉시, 보건소에 수능 지원자임을 밝히고, ‘관할 교육청’에 전화하시기 바랍니다. 확진 또는 격리 수험생은 정해진 시험장이 아닌 다른 시험장에서는 응시가 불가능합니다. 다른 시험장에 진입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관할 교육청 연락처서울 02-3999-740부산 051-860-0315대구 053-231-0396인천 032-550-1738 광주 062-380-4571대전 042-616-8312울산 052-210-5462세종 044-320-2235경기 031-820-0970강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