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의미


글_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가 언급된 이후에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관계자들은 앞으로 ‘과정 중심 평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공감하지만 막상 학교 현장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방향성에 대한 공감과 더불어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과정 중심 평가 출현 배경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정리해보자.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요구는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교육 변화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미래사회로 대변되는 지능정보사회는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기존의 것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는 사회이다. 이에 정부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통해 미래사회를 대비하고자 하였고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이와 같은 정부의 대비책이 담겨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학교 교육의 변화를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평가 중, 교육평가 측면에서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은 결과 중심 평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평가 패러다임 확장이자 또한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평가의 연계로 볼 수 있다.
  우선 과정 중심 평가는 결과 중심 평가와 대비되어 나타난 용어이다. 과정 중심 평가는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교육 평가의 문제점에서 출발한다. 이는 ‘과정 중심 평가’ 용어가 사용된 초기 출처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초기 출처들 중,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정책 연구(김순남 외, 2013)에서 ‘과정 중심적 평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과정 중심적 평가’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암기위주나 정답 찾기 등 결과 중심의 평가 방식에서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학생이 지식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결과 중심적인 평가로 본데 비해, 학생의 문제 해결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것을 과정 중심적 평가로 본다. 이처럼 과정 중심 평가는 현재의 학교 교육의 평가가 결과 중심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비되는 평가로 과정 중심 평가를 바라보는 것이다.

 

  평가 패러다임의 확장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이 아는 과정을 평가의 대상으로 포함시킨 동시에 평가 결과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 평가를 학습의 도구로 사용한다. 이 특징은 개정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2015. 12. 01)의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중 ‘라.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강화하여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한다.’에 잘 나타난다. 평가 결과 활용 범위의 확장은 평가 결과를 점수 산출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 도구로서의 평가는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하는 것과 연관된다.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이 배운 것을 평가하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를 넘어 평가의 결과를 ‘교수·학습 질 개선’ 또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해 사용하도록 하여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로 평가 패러다임을 확장한 것이다.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평가 연계
  과정 중심 평가는 교육 평가가 결과 중심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확장된 평가 패러다임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 중심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육평가와 교육과정, 교수·학습이 분리될 수 없다. 학교현장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없이는 교과서 중심의 진도 나가기, 성적산출을 위한 평가 시행방식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는 평가 결과를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어렵다. 나아가 학습으로의 평가 실천을 어렵게 한다. 과정 중심 평가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평가의 연계가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에 성취기준 기반으로 평가 계획을 세움으로써 교육과정과 교수·학습과 교육 평가가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자료를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각도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산출하여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출현 배경과 특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기반한 평가계획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
  과정 중심 평가는 현재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래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교육적 요구를 포착한 현상의 용어이다. 학문 분야에서 교육 평가의 특정 유형으로 정립된 용어는 아니다. 이와 같은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성을 수업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평가방법 중의 하나가 수행평가라 할 수 있다. ‘수행평가’는 학생이 자신의 지식 및 기능에 대한 습득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산출물을 만들어 내거나 실제 수행을 통해 학생의 학습을 평가하는 것으로 수행평가는 교수·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방식이다. 수행평가에 ‘과정 중심’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것은 사실 불필요한 수식에 가깝지만 평가의 대상을 수행의 결과물뿐만이 아니라 수행의 전 과정으로 확대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고 수행평가가 수업과 연계하여 수업 중에 실시된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수행평가는 학교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가장 잘 실현시킬 수 있는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적합한 실천 방법이 수행평가임을 생각해봐도 과정 중심 평가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우리가 과정 중심 평가를 새로운 이론으로 새로운 방법이라 생각하는 것도 학교현장에서 실천 방법을 고민하게 만드는 것 같다. 과정 중심 평가는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평가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며 미래 사회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1], 교육부.
김순남, 강이회, 김병찬, 박삼철, 유진은, 이은송, 전명남, 조훈희(2013).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정책 연구: 국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OR 2013-09.
노은희, 서민원(2016).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행 평가 시행의 과제와 현장 안착 방안,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학생 평가 및 기록 개선 방안 토론회. 3-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6-85.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