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교육부·국가교육회의 등 4개 기관 공동 ‘2030 교육포럼’

日 수출규제에 대학·기업 모여
기술주도권 강화 모색

글_ 편집실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로 드러난 우리나라의 부품·소재·장비산업의 대외의존성과 산업구조의 기술숙련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학교육 및 연구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교육부는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 더불어민주당 소재·부품·장비·인력 발전특별위원회(위원장 국회의원 정세균), 국회의원 박경미와 공동으로 9월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제 기술주도권 강화를 위한 대학교육·연구의 역할’이란 주제로 『2030 교육포럼』을 개최하였다.

  서유미 교육부 차관보는 “경쟁력 확보가 절실해 지고 있으며, 이 중심에 기술력과 질 높은 인력이 있다.”라며 “교육과 연구의 심장인 대학이 그 중심에 있다. 미래사회 기대에 부응하는 주체로 자리 잡기 위해 신산업을 발굴하고, 견인하는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번 포럼에서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 R&D 혁신과제 △대학의 장기적·도전적 연구개발 촉진방안 △연구기술 개발 지역거점 플랫폼 구축 △산업과 연구의 연계 강화방안 △부품·소재·장비 분야 인력양성 △대학 산학협력 강화방안 등을 논의했다.

  ‘지역과 산업에 밀착하는 광역단위 고등 연구기술개발 플랫폼 구축’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상동 경북대 총장은 우리나의 현 산학협력을 ‘뫼비우스’ 상황으로 진단했다. 거점국립대는 전통적 교육기능을 강조하고 정부는 연구중심대학에 대한 지원체계가 미흡하다는 것. 특히 정부·기업·대학이 서로 무엇을 하는지 모르는 상황으로 혁신을 이끌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다는 지적이다. 김 총장은 “광역단위 대학을 주축으로 한 ‘지역혁신 클러스터 플랫폼’ 구축하고 ‘지역인재-지역기업-지방정부’를 하나로 묶어 지역산업 및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기업의 대학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에 대한 혁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제기되었다. 김경도 진영글로벌 공동대표는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이 기술독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을 교육하고 양성할 수 있는 인하우스(In-House) 형태의 소재·부품기업 클러스터형 대학 연계교육과 커리큘럼을 신설해야 한다.”라며 “특히 기술부문에 탁월한 장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기술사 및 기술자격증제도를 강화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

  이날 송은주 교육부 국립대학정책과장은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을 강조했다. 특히 송은주 과장은 “지자체 -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을 신설, 올해 1,00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라며 “대학이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해서 대학-지자체-산업체 발전계획을 수립토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