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조선 시대 과거 시험에서도 부정이 있었을까?


글_ 강응천 도서출판 문사철 대표(역사저술가)



공정한 시험 제도는
한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수학능력시험에서 부정행위가 적발되는 사례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조선 시대의 과거 시험도 마찬가지였다. 손으로 다 꼽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부정행위가 있었다. 대리시험에 해당하는 차술차작(借述借作), 시험장을 책을 갖고 들어가는 수종협책(隨從挾冊), 시험장에 드나드는 입문유린(入門蹂躪) 등 끝이 없었다.

  부정행위를 막기 위한 방법도 다양했다. 과거 시험장을 둘로 나누어 형제나 친척은 서로 다른 과장(科場)에서 응시하게 했다. 응시생은 종이, 붓, 먹, 벼루만 들고 들어갈 수 있었는데, 시험장 입구에는 문지기인 수협관을 세워두고 철저한 몸수색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 만약 책을 숨기고 들어가다가 들키면 일정 기간 응시 자격을 박탈했다. 양반 자제들은 평소 수발을 드는 종을 데리고 다니곤 했는데, 시험장에는 함께 들어갈 수 없었다. 응시자가 아닌 사람이 시험장에 들어갔다가 적발되면 즉시 체포되어 군에 보내졌다.

  시험장에 들어간 응시자들은 여섯 자 간격(약 180cm)을 두고 앉았다. 시험장에는 군데군데 감독관이 배치되어 답을 쓰는 응시자들을 감시했다. 벼루나 옷자락 따위에 경전의 내용을 빼곡히 적어두었다가 이를 몰래 베껴 쓰지 않는지, 남의 답안지를 엿보지 않는지, 미리 답안지를 작성해 슬쩍 끼워 넣지 않는지 살폈다. 두 사람이 답안지를 작성한 다음 한 사람 것만 내는 사례도 감시 대상이었다. 규정을 어기거나 부정행위가 적발된 응시자는 두 차례의 응시 자격을 박탈당했다. 정기 시험은 3년마다 시행되었으므로 입신양명의 기회가 6년이나 미뤄진 셈이다. 남의 글을 베껴 쓰거나 남이 쓴 답안지를 자신이 쓴 것처럼 제출한 응시자는 곤장 100대를 치고 노동형에 처하거나 심하면 유배를 보내기도 했다.


답안지 바꿔치기, 가짜 감독관…시험 무효 처리되기도


  우리 사회에서도 수능 집단 부정행위나 고등학교 시험 문제 유출 같은 대형 입시 부정 사건이 일어나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곤 한다. 조선 시대에도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과거 시험 부정 사건들이 있었다. 특히 조선 후기 숙종 때 일어난 세 차례의 ‘과옥(科獄)’은 악명이 높았다.

  1699년(숙종 25) 10월의 기묘과옥은 단종 복위를 축하하며 실시된 증광과(增廣科) 전시(殿試)에서 벌어졌다. 5년간의 조사를 거쳐 50명의 응시생이 처벌받고 시험 자체가 무효로 처리된 대형 사건이었다. 당시 적발된 부정행위는 답안지를 바꿔치기하거나 시험 감독관을 응시자의 종으로 바꿔 세우는 등 죄질이 좋지 않았다. 답안지를 바꿔 낸 이제, 윤귀열 등은 8년간 군에서 복무해야 했고, 자신의 종을 감독관으로 세운 안귀서, 최석기는 온 가족과 함께 추방되었다. 주인을 위해 가짜 감독관 노릇을 한 사람들은 제주도까지 가서 3년간 군역을 치러야 했다.

  임오과옥은 1702년(숙종 28) 봄의 알성시에서 일어난 시험 부정 사건이었다. 아홉 명의 합격자 가운데 채점자와 4촌 이내의 친인척 관계에 있는 사람이 무려 여덟 명이나 된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1712년(숙종 38)의 정시에서 비롯된 임진과옥에서는 채점자가 알아볼 수 있는 암호가 쓰였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당시는 노론과 소론 사이의 당쟁이 극심한 시기였는데, 채점자는 소론 측 인물이었다. 암호의 의혹은 제기한 것은 물론 노론 측이었다. 노론이 집권한 시기에는 이 의혹이 크게 취급되어 합격이 전부 취소되었다. 그러나 훗날 집권한 소론 측은 암호 의혹이 부풀려진 것으로 판정해 합격자들의 자격을 회복시켜 주었다. 이처럼 과옥은 정치적 사건으로 비화하기도 했다.

  노론과 소론 사이의 당쟁은 입시 부정 문제를 부풀린 측면도 있었지만, 역설적으로 입시 제도를 개선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두 당파가 서로 감시하고 비판하다 보니 규율과 처벌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노력을 경쟁적으로 기울였기 때문이다. 숙종 대의 3대 과옥을 거치면서 과거 시험과 관련된 지침의 80%가 정비되었다고 한다. 당쟁이 극심했던 숙종과 경종 시기를 거쳐 영·정조 시기의 문화부흥이 이루어진 데는 그러한 과거 제도의 개선도 한몫했을지 모른다. 공정한 시험 제도는 한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