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새해 아침에 읽는 위안과 사랑의 시

유성호 한양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글 유성호 한양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어김없이 새해가 밝았다. 코로나로 뒤덮였던 묵은해를 날려 보낼 새해를 우리는 이렇게 낯설고도 희망차게 맞는다. 1년 365일이야 변함이 없겠지만 특별히 새해에 맞는 하루하루는 참으로 반갑고 또 새로운 희망을 품기에 족하다. 그만큼 우리 모두는 감염병 사태에 조금은 지쳤고 또 가장 근원적인 위안과 회복을 염원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기대에 찬 한 해를 고요한 기도 속에서 시작해보면 어떨까?


간절한 색동 설빔의 노래 

이해인 수녀의 시집 『시간의 얼굴』(분도출판사, 1989)에는 「새해 아침에」라는 작품이 실려 있다. 지금 읽어도 섬세하고도 아름다운 위안과 사랑의 마음이 잘 전해져온다. 한번 소리 내어 읽어보자.


창문을 열고/밤새 내린 흰 눈을 바라볼 때의/그 순결한 설레임으로/사랑아,/새해 아침에도/나는 제일 먼저/네가 보고 싶다/늘 함께 있으면서도/새로이 샘솟는 그리움으로/네가 보고 싶다/새해에도 너와 함께/긴 여행을 떠나고/가장 정직한 시를 쓰고/가장 뜨거운 기도를 바치겠다//

내가 어둠이어도/빛으로 오는 사랑아,/말은 필요 없어/내 손목을 잡고 가는 눈부신 사랑아,/겨울에도 돋아나는/내 가슴 속 푸른 잔디 위에/노란 민들레 한 송이로/네가 앉아 웃고 있다//

날마다 나의 깊은 잠을/꿈으로 깨우는 아름다운 사랑아,/세상에 너 없이는/희망도 없다/새해도 없다//

내 영혼 나비처럼/네 안에서 접힐 때/나의 새해는 비로소/색동의 설빔을 차려입는다/내 묵은 날들의 슬픔도/새 연두 저고리에/자줏빛 끝동을 단다


기사 이미지



  새해 아침에 시인이 간절하게 바라는 것은 ‘너’라는 2인칭을 향한 순결하고도 설레는 사랑과 그리움의 시간이다. 늘 함께 있으면서도 여전히 그립기만 한 ‘너’는 새해에도 함께 긴 여행을 떠나고 정직한 시를 쓰고 뜨거운 기도를 바치게끔 해줄 더없이 소중한 존재이다. 어둠을 넘어 눈부시게 빛으로 오는 ‘너’의 사랑이야말로 ‘코로나19’로 사라져간 ‘웃음’이며 ‘생명’이며 ‘꿈’을 일깨워주는 힘이 되어주지 않겠는가. 그래서 시인은 “너 없이는/희망도 없다/새해도 없다”라고 노래한다. 그렇게 우리 모두는 ‘나’도 되고 ‘너’도 되어 눈부시게 열려오는 새해 색동 설빔의 노래를 부르고 듣는다. 묵은 날들의 슬픔을 보내면서 환한 연두 저고리에 자줏빛 끝동을 닮으로써 전혀 다른 세계로 탈바꿈해갈 위안과 사랑의 힘을 얻는다. 귀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성찰에서 희망으로

  이제 10만 관중이 운집하여 치러지는 월드컵 결승전이나 수만 명이 동시에 출발선을 떠나는 마라톤 대회는 당분간 보기 어려울 것 같다. 오케스트라 공연장을 가득 채운 청중이나 한국영화 천만 관객도 2020년 이전 신화로 사라져갈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참여자 감소가 본질적인 문제는 아닐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이타주의에 눈뜨게 될지도 모른다. 프랑스 경제학자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는 코로나 시대의 마스크 착용이 자신보다 타인을 위하는 이타주의의 전형이라고 말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이제 우리는 1인칭 중심의 속도 과잉을 반성하면서 ‘너’라는 2인칭을 천천히 새롭게 발견해가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가 아닌 ‘위드 코로나’ 시대에는 이 길만이 최선의 출구 전략이며 새로운 인간 정체성을 발견하는 최량의 기회가 되어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그리고 우리는 그때 비로소 이 낯선 팬데믹 시대를 돌아보는 성찰의 순간을 맞이할 것이고, 그 순간은 우리를 낯설지 않은 새로운 희망으로 인도할 것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