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국가 책임교육의 출발, 유보통합
특집 ① 질 높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유보통합’
특집 ② 위례아이숲어린이집, 서울송파위례유치원 탐방! ‘우리 모두의 아이’를 위한 첫 번째 자람터
특집 ③ 학부모의 목소리를 듣다
특집 ④ 유보통합으로 ‘책임교육·돌봄’ 실현
특집 ⑤ 해외에서는 어떻게 유아교육·보육이 이뤄질까?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올해 국가장학금 4조 4,447억 원 지원
초등학교 주변 안전한 통학로 만들어요!
“다시 시작되는 학교, 안심하고 보내세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2025년부터 유보통합이 교육부와 교육청 중심으로 본격 시행됩니다
김경성 푸른나무재단 이사장 - 학교폭력 예방은 아픔을 공감하는 훈련에서 시작
괴산군 청소년문화의집 봉사동아리 ‘은가비’ - “모든 인생은 역사가 된다”
로봇 윤리학자_ 김종욱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로봇에게 윤리란 필수 불가결한 일이죠”
갈등을 관리하는 최선의 길
3년 만에 벗은 마스크, 이젠 소통이 필요한 때
다산 정약용과 강진 백운동 원림이 차茶로 맺은 인연
‘댕댕이’는 ‘커엽’다
환경과 융합한 지리 교과캠프 - ‘우리 동네 에코매핑’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 콘퍼런스 - 기후위기 최선의 대처법, 교육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 염원 담아 연 날립니다!
특성화고 졸업생, 새내기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우리집 소화기, 어디에 있을까요?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으로 기초학력진단체계 고도화 실현
졸업을 축하합니다(Tonight is your night)!
활동 중심 수업 'The. 미.나.리.게임'을 소개합니다
학생작가 양성으로 생활 인문 교육 꽃피우다
단성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바뀐 첫 해, 입학식 풍경~
저자 인세 기부, 체육 선생님들의 선한 영향력
이달의기사 전체보기
전남 광영고등학교 황왕용 선생님
언어는 자의적 특성이 있습니다. 사람을 잘 따르고 영리한 네 발 달린 갯과의 포유류가 ‘개’라고 불리는 것에 어떤 필연적 관계도 없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dog’, 독일어로는 ‘Hund’처럼 의미와 기호가 절대적 관계가 아닙니다. 사회적 약속이 아니라면 ‘펜’을 꼭 ‘펜’이라고 부를 이유도 없습니다. 앤드루 클레먼츠의 <프린들 주세요>라는 동화에서는 ‘펜’을 ‘프린들’로 부르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선생님은 주인공에게 바른 말을 사용하라며 벌을 주기도 합니다만, 그럴수록 ‘프린들’은 더 유행합니다. 대한민국의 10대들도 신조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한글 파괴라는 걱정도 많지만, 한편으로 10대들의 은어 사용은 그들만의 사회적 약속을 만들어가는 모습이 아닐까 짐작해봅니다. 한 야구 갤러리에서 유명해진 언어 유희적 표현인 ‘야민정음’은 10대를 만나 크게 변형, 확산, 확장된 사례입니다. 글자 여러 개를 압축하는 경우, 글자를 180도 회전하는 경우, 얼핏 보면 헛갈려서 한글 자모를 의도적으로 바꾸는 경우 등등 다양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곰’은 ‘문’으로, ‘멍멍이’는 ‘댕댕이’, ‘귀엽다’는 ‘커엽다’처럼 표현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심지어 2023학년도 수능 사회문화에 ‘띵작(명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신조어 사용 세태가 지문으로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경우에 ‘leet’가 비슷한 사례입니다. ‘leet’는 알파벳과 비슷하게 생긴 모양, 숫자 등을 이용하여 암호처럼 해독해야 이해할 수 있는 해커들이 만들어 낸 언어입니다. ‘미국에도 이런 비슷한 형태의 은어가 있다면, 번역 서비스도 제공해 줄까’라는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인공신경망 기반으로 언어를 번역해주는 파파고에서 ‘댕댕이’라고 입력하면 ‘dog’가 아닌 ‘clog’라고 번역되더군요. 점심시간에 잠시 이야기를 나누며 한 친구에게 파파고 번역 결과를 보여줬더니 신기해하면서도, 요즘에는 이런 말 잘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