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코로나19 대응 ‘K-방역’ 제8차 웹세미나 개최

원격수업 토대로 미래교육 혁신 추진

글   편집실


◦ 과학기술·ICT·교육 분야 코로나19 대응책 공유

◦ 정부부처, 유관기관, 민간 기업이 함께 웹세미나 개최

◦ 온라인 개학 운영 성과 및 미래교육 연계 방안 발표

  정부는 지난 7월 1일 코로나19에 대응한 우리나라 방역 관련 정책과 경험을 전 세계에 공유하기 위해 제8차 웹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른바 ‘K-방역’이라 불리는 한국식 방역체계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IT 및 통신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주효했다. 이번 웹세미나에서는 특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주제로 그동안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온라인 개학’을 주제로 한국의 온라인 개학 시행 과정에 대해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본부장은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대한 선제적 예방을 위해 등교수업을 세 차례 연기하고, 지난 4월 9일부터 단계적 온라인 개학을 실시했다.”라며 “전국 540만 명의 초·중·고 학생이 원격수업에 원활하게 참여하도록 시스템을 확충하고, 민간과 협력해 원격수업용 콘텐츠를 확보했다.”라고 설명했다.


공공 인프라 확충·원격수업 지원체제 운영

  교육부는 공공 원격수업 플랫폼인 e학습터와 ebs 온라인클래스의 인프라를 증설하고, 안정성 유지를 위해 민관합동 원격수업 점검 TF와 실시간 현장기술상황실을 운영해왔다. 또, 원격수업에 대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지원하기 위해 교원 간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원격교육 시범학교 495개교 지정을 통한 모범사례 공유 △학교별 원격수업 대표교원 1만 명이 참여하는 ‘1만 커뮤니티’ 운영 △1:1 원격접속을 통한 교사 지원단 ‘교사온’ 운영 등이 그 사례다.

  지난 4월 말 교육부 조사 결과 교사 중 33%는 온라인 개학을 위한 수업자료를 스스로 개발해 활용했다고 답했다. 또, 앞으로 등교수업과 연계해 원격수업을 활용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이 44%에 이르렀다.

  김진숙 본부장은 “여러 국가에서 한국은 IT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에 원격수업이 시행될 수 있었다고 하지만, 기술적 측면이 아니라 선생님들의 자발적 참여와 노력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라며 “온라인 개학으로 인해 선생님들도 원격교육의 교육적 잠재성을 인식한 계기가 됐다.”라고 말했다.


스마트 기기 지원·맞춤형 학습 이뤄져

  원격수업 관련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는 타 부처, 공공기관, 민간 등과 협력해 스마트 기기를 학생에게 무상 대여하고, 온라인 교육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도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게 지원했다.

  원격수업에 취약한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학습도 이뤄졌다.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해 1:1 방문교육이 이뤄지거나 개별화교육지원팀을 운영해 맞춤 지원이 이뤄졌다. 다문화 학생은 다문화교육지원센터와 연계해 관련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했다.

  김 본부장은 이번 원격수업의 경험이 새로운 미래교육 체제로 혁신하는 기회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공공과 민간의 협력,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방지해야 한다는 선생님들의 공감과 실천이 원격수업의 바탕이 됐다.”라며 “이번 경험으로 미래교육 혁신을 추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고, 앞으로 국제사회와 함께 교육협력과 정보공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웹세미나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코로나19 대응(이충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협력총괄담당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이대훈 ㈜씨젠 미래기술연구소장)’, ‘코로나19 치료제 개발현황(류왕식 한국파스퇴르연구소장)’을 주제로 한 발표도 함께 진행됐다. 영어와 러시아어, 프랑스어 동시 통역이 제공된 이번 웹세미나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홈페이지(www.medicalkoreawebinar.or.kr)에 접속해 실시간 참여가 가능하도록 했다.


원격수업 관련 Q&A

Q1.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응이 실질적 효과가 있었나?

A.  우리나라는 가정에서의 인터넷 접근성이 비교적 높은 환경이다. 문제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하는 것인데, 교육부·시도교육청·각 학교는 의사소통 채널을 구축해 스마트 기기를 지원 요청하는 모든 가정에 보급했다. 학교에서 이미 갖고 있던 기기와 함께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한 결과, 2주에 걸쳐 대여가 완료됐다. 결과적으로 전체 98.9%의 학생들이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Q2. 향후 한국형 원격수업의 방향은?

A.  이번 경험을 기반으로 국가 차원에서 미래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과제를 추진 중이다. 기본요소는 교육 기회의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전 국민 디지털 활용역량 강화다. 정부가 ‘한 사람도 놓치지 않는 교육’을 주요 가치로 하는 만큼 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 격차를 해결하고, 원격수업을 비롯해 교육체제 전반을 발전시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