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인터뷰] 유은혜 부총리-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

배움·성장 향한 선생님의 열정과 도전, 그리고 학교 민주주의는 미래교육의 원동력!

글  이순이 편집장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

  지난 3개월간 교육계는 온라인 개학, 원격수업 등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도전을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린 교육의 본질에 의문을 던졌다. ‘학교는 왜 필요한가?’ 이 물음에 답하듯 교육부는 최근 지속성, 포용성, 자율성, 적극성, 안전 등 미래교육 방향의 5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포스트 코로나 교육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이 구상하는 미래교육과 교육현안에 대한 생각을 들었다.


온라인 개학 3개월, 우리 학교 교육은?

  지난 4월 9일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며 학교생활을 해온 지 3개월이 지났다. 누구도 가보지 않은 도전의 길이었고, 쉽지 않은 결단이었다. 3개월이 지난 지금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하 유 부총리)은 학교 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온라인 개학을 한다고 했을 때, ‘어떻게 하냐’를 두고 다양한 목소리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현장의 저력을 느꼈다. 4월 21일 선생님들이 직접 제작해서 공공플랫폼에 올린 콘텐츠는 230만 개였다. 7월 6일에는 2,483만 개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원격수업 출석률도 영국이나 미국은 외신에 의하면 60% 내외였으나, 우리 학생들은 99% 수준이었다. 위기상황에서도 배움과 성장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선생님들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고, 이런 학교현장의 모습에 매우 감동했다. 이런 현장의 힘이 미래교육의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이하 최 회장)은 “선생님들이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있다.”라며 “교육공동체가 서로 협력하고 참여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학교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라고 설명했다.


‘학교는 왜 필요한가?’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학교 밖에서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지식교육이 이뤄지면서 ‘학교는 왜 필요한가?’라는 교육의 본질에 물음을 던지고 있다.

  이에 대해 유 부총리는 “해외사례를 보면, 저학년 아이일수록 사회적 관계가 단절됐을 때 정서적 심리적 불안감이 크다.”라며 “아이들은 성장단계에 맞는 배움과 사회적 관계 맺기가 필요한데, 그런 의미에서 학교는 아이들에게 총체적인 삶의 장”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배움이라는 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나누고 함께 성찰하는 과정”이라며 “쌍방향 원격수업을 잘 준비해도 같은 공간에서 마주 보고 눈빛을 교환하면서 하는 수업을 온전히 대체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교자치 법제화 추진, 학교 민주주의 꽃피운다

  이번 위기상황 속에서 빛을 발한 것은 교육공동체의 협력이었다. 교육공동체의 집단지성은 불가능할 것 같은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학교구성원이 참여해 의사결정을 하고 공동으로 책임지며 나아가 서로 배려하고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학교자치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라는 유 부총리는 “21대 국회에서 학생회, 학부모회, 교직원회가 활동할 수 있는 법이 새롭게 발의가 됐다. 국회 논의 과정에서 법적 근거를 만들어 학교자치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학교자치는 법제화도 중요하지만, 문화”라며 “실제로 학교운영위부터 학생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며, 학생회나 학부모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공감했다.


교육부-교육청-학교의 역할

  학교자치가 법제화가 되면, 교육부-교육청-학교의 관계도 재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부는 유초중등 분야에 대해서는 교육청에 책임과 권한을 이양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진행형이다.

  유 부총리는 “교육감협의회와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교육자치가 좀 더 역량을 갖추고 속도를 내면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할 뜻을 전달했으며 최 회장은 “올해 계획된 세종교육청 100가지 사업을 코로나 때문에 못 했다.”라며 “계속 안 해도 되는 것은 이번 기회에 내려놓자.”라고 제안했다.


유 부총리 “국가교육위, 내년 출범할 수 있어야”

  정권에 상관없이 국가교육의 중장기 비전을 수립하고 교육자치를 강화하기 위한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는 교육계의 관심사 중의 하나다.

  유 부총리는 “국가교육위는 중장기적인 교육 비전을 갖고 정책 현안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기구로 내년도에 출범할 수 있으면 좋겠다.”라며 “교육부는 고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그리고 사회부총리 부처로서 사회 정책적 내용을 더 챙겨나가는 조직으로 변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국가교육위가 올 하반기에는 정기국회에서 처리되었으면 한다.”라며 “공동체의 진지한 논의와 지혜를 모아서 미래교육을 설계하고 현장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추진

  또한, 교육계는 코로나19로 촉발된 포스트 코로나 교육대전환을 목표로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는 최근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지속성, 포용성, 자율성, 적극성, 안전 등 5가지 원칙을 제시했으며,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 대해 “단순히 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 아닌 학교가 새로운 교육과정, 새로운 수업방식,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공간으로 바뀌는 것”이라며 “나아가 학교 복합화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데 실현되면 학교가 지역주민과 함께 나누는 공간으로 거듭나며 지역공동체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라고 청사진을 제시했다.


유 부총리 “학교 공간에 지자체가 운영하는 새로운 돌봄모델 만들 것”

  한편,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학습 공백만큼 돌봄 공백은 맞벌이 가정의 어려움 중 하나였다. 교육부는 긴급돌봄을 통해 맞벌이 가정의 어려움을 해소해 왔으나 돌봄의 주체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유 부총리는 “맞벌이 가정이 많은 지역은 그 특성을 반영해서 아이에게 맞는 돌봄 시스템을 제공해야 한다.”라며 “기존의 것을 지속하면서 내년부터는 학교 공간을 사용하지만 돌봄 운영은 지자체가 책임지는 새로운 모델을 실험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아이들 돌봄뿐 아니라 어르신 돌봄까지 지자체에서 책임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현장에서) 돌봄은 교육인가, 보육인가 논란이 많은데, 행정적으로 나눌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같은 것”이라며 학부모들이 ‘학교’라는 공간을 신뢰하는 부분을 간과할 수 없다고 전했다. 특히 교육청-지자체가 협력하는 새로운 온종일돌봄체제를 만드는데, 세종시가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아이들을 ‘5지 선다’에서 해방시키고, 마을 전체가 행복한 배움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할 터”

최교진 회장


“교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수업의 다양성과 창의성 보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유은혜 부총리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을 위해

  끝으로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을 만들 수 있을지 물었다.

  최 회장은 “모든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교육혁신의 목표는 아이들의 행복과 안녕, 그리고 안전이다.

  ‘5지 선다’에서 아이들을 해방시키는 것이 행복을 주는 길”이라며 “마을 전체가 아이들의 행복한 배움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교육을 혁신한다는 것은 교육과정 운영을 혁신적으로 바꾼다는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우리의 역량과 가능성을 확인했다. 교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수업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가진 권한은 내려놓고 국가 차원에서 책임져야 하는 부분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