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평생교육의 미래 전망’ 온라인 포럼 개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삶-학습의 선순환 이뤄야”

글  양지선 기자

◦ 유튜브 생중계 진행, 실시간 댓글로 질의응답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생교육 방향 예견

◦ 포용적 사회정책 확산·디지털 평생교육 강조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7월 21일 ‘평생교육 미래전망: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평생교육의 새로운 표준이 온다’를 주제로 온라인 포럼을 개최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평생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발표를 통해 우리 사회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미래 평생교육의 방향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윤여각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코로나19가 앞당긴 비대면 사회의 도래는 이제 우리 일상을 넘어 생활방식과 경제구조 등 사회 전반을 바꿔나가고 있다.”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책의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평생교육 분야의 변화를 모색하고 새로운 정책의제를 발굴해야 한다.”라고 포럼 개최 의의를 밝혔다.

  박춘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과 류수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의 축사에 이어 시작된 포럼은 총 5명의 전문가 발표와 유튜브 실시간 댓글을 통한 질의응답의 순서로 진행됐다.

  먼저 ‘코로나19 경험과 삶의 질’을 주제로 조흥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코로나19 경험이 알려준 보건복지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일과 삶, 학습의 선순환을 위한 포용적 사회정책이 확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대응 전략으로는 사람을 우선으로 하는 ‘휴먼뉴딜’ 정책을 중심으로 재정투입과 제도개선 등 국가의 선도적 역할을 강조함과 동시에 지역과 민관의 협력을 내세웠다.


‘디지털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 방식 및 콘텐츠 개선 논의

  이찬 서울대학교 교수와 김상균 강원대학교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을 주제로 각각 ‘디지털 평생교육’과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게임이 아닌 분야에 게임의 요소를 넣어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을 다루며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교육의 변화를 분석했다.

  이찬 교수는 코로나19 심각 단계 전후를 기점으로 한 우리나라 직장인의 학습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워러밸(Work-Learning Balance)의 중요성을 상기시켰다. 그는 “코로나19 심각단계 이후 교육 시행 횟수와 시간이 절대적으로 줄어들었고, 교육의 품질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0% 이상이 ‘보통’ 혹은 ‘불만족’을 꼽았다.”라며 개선의 필요성을 얘기했다. 또, 앞으로 디지털 평생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스마트 러닝 활성화 △개인별 맞춤형 교육 설계 △유비쿼터스 교육 방식 △성과 중심의 평생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이 바탕이 돼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균 교수는 놀이를 통한 즐거운 배움이 학습의 몰입도를 높인다고 설명하며 게임을 활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김 교수는 “공부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렸을 때 부정적이고 무기력한 감정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하며 “코로나19라는 불안정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학습 시간은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일생의 배움을 즐겁고 재미있게 이어나가야 한다.”라고 전했다. 또, “게이미피케이션은 1대 다수의 일방적 강의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을 이루면서 개개인이 교육에 즐겁게 참여하도록 도와준다.”라고 설명했다.


기본소득 보장·평생교육 거버넌스 구축 필요

  김찬휘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부소장과 고영상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개발특임센터장은 뉴노멀 시대에 발생하게 될 디지털 격차와 양극화를 해소하고 포용적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교육적 대안과 해법을 모색했다.

  김찬휘 부소장은 기본소득의 보장이 곧 평생교육의 보장임을 역설했다. 그는 “안정적 소득으로 시간 주권(시간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할 권리)이 생기면 평생교육의 기반이 마련되고, 평생교육을 통해 다시 취·창업 기회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라고 말했다.

  고영상 센터장은 “현재 평생교육은 법정의무교육처럼 가르칠 내용과 대상이 정해져 있고, 개개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 교육이 지원되고 있지 않다.”라며 평생교육이 공급자 관점에서 이뤄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고 센터장은 “학습자 이력과 강사 정보, 교육 프로그램, 시설 운영정보 등이 평생교육이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 평생교육의 학제화를 주장하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인재역량관리와 계획적인 교육투자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