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노르웨이 학교사례로 보는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의 본질

글_ 박성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지원연구본부장(공학박사)

학생을 넘어서 개개인의 성격을 존중하는 공간
개인의 다양한 활동형태를 지원하는 공간
다양한 활동 요구를 즉각적으로 수용하는 공간

 

  최근 들어 서울의 『꿈을 담은 학교』, 강원도의 『감성화 학교』 등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체들이 아직까지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기존의 시설사업을 확장형 정도로 여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시설개선 사업에 리모델링 요소를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공간 재구조화는 그 기원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공간의 혁신이 아닌 『교육 혁신』에 목적을 두고 있다. 많이 알려진 것과 같이 교육 혁신은 단순히 교육과정의 변화를 넘어서 과연 학생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을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관점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성취하기 어렵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올바르게 추진하고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최우선이라 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주요 공간에 대한 해외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도입함에 있어 정책가, 학교현장, 건축가 등 참여자들이 인식하여 할 핵심적인 사항을 짚어 보고자 한다.

해외의 학교시설 재구조화 사례
  [그림1]과 [그림2]는 노르웨이에 위치한 Ringstabekk Skole의 일반교실 내 공간들로 이 학교는 2015년 개축을 통하여 학교를 재구조화한 사례이다. [그림1]과 같이 일반교실 내부에는 학생들이 소규모 또는 개인이 쉴 수 있는 휴게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그림2]는 일반교실과 연계된 공간으로 소규모 수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수업 중에도 서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높은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다.

 

[그림 1 ] 일반교실 내 휴게공간                                                [그림 2] 일반교실 내 소규모 수업공간

 

  [그림3]과 [그림4]는 노르웨이에 위치한 Kuben Viderega°ende Skole의 도서관 공간이다. 도서관은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도록 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그림3]에서 보듯이 도서관 내부는 서가보다는 학생들이 독서를 하거나 토의를 할 수 있는 공간형태로 조성되어 있다.
  [그림4]에서 보듯이 학생들은 조용히 독서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토의하고 즐기면서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사용규모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과 동적 또는 정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의 가구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3] 도서관 전경                                                                 [그림 4] 도서관 내부 개별공간

  [그림5]와 [그림6]은 Valle Hovin 학교의 공간들이다. [그림5]는 식당 내부로 획일적인 크기의 공간 또는 식탁을 배치하지 않고 소규모 그룹이 안락하게 식사할 수 있는 반개방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식당 내부에는 이 외에도 소파, 테이블 등 다양한 종류의 가구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그림6]은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개인 화장실로 이 학교에는 우리나라와 같은 공중화장실 외에도 [그림6]과 같은 개인 화장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림 5] 식당 내부 소규모 공간                                                [그림 6] 개인 화장실

학교 재구조화, 학생 개인 중심의 공간 조성
  위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공간 재구조화는 단순히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본래의 수준으로 돌려놓거나 리모델링을 통하여 아름다운 공간을 외형적으로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지 않다. 그렇다고 단순히 학생이라는 집단의 요구를 총괄적으로 받아들이는데 목적이 있지도 않다. i) 학생을 넘어서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할 수 있는 공간, ii) 개인의 다양한 활동형태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 더 나아가 iii) 개인의 다양한 활동 요구를 즉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학교 공간 재구조화는 단순히 학습자 중심의 학교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넘어서 학생 개인 중심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본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