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권위는 어디서 오는가

글_ 김석수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우리 사회에는 현재 ‘탈권위’ 현상이 분출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압축근대화와 더불어 작동해온 강한 국가명령 사회를 빠져나와 저마다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는 사회로 이동해온 역사적 과정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사실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사적 소유에서 찾는 시장 중심 사회로의 진입은 서로 의심하고 경쟁하는, 그래서 전통적 권위를 와해시키는 방향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없다. 이 같은 현상은 인터넷 문화의 확산과 사이버 세계의 지배로 더욱더 심해지고 있다. 더욱이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 기초한 지식의 대중화 및 지식 주체의 다변화는 이를 더욱더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제 전문가와 지식인도 더는 특별한 권위를 지닌 존재가 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은 우리 사회만 겪는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이는 전 지구적 현상이기도 하다. 탈권위는 중심과 주변, 주체와 대상으로 가르는 기존의 모든 차별 구도를 와해시키려는 오늘의 해체주의적 흐름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1세기 해체주의는 보편적 답이나 표준적 기준에 입각한 권위의 확립을 지배 권력의 구축으로 해석하며 이를 부정하려고 한다.       

 

갑질·혐오사회는 탈권위 현상의 단면
  사실 권위에 대한 해체는 서구 근대화 과정에서부터 이미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서구 근대의 계몽주의는 형이상학이나 종교적 신념에 기초하여 특정 지배체계를 구축해온 전통과 권위를 청산하고, 오로지 인간 자신의 이성의 자율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근대 시민혁명과 더불어 출현한 자유주의적 삶은 전통과 권위를 구시대의 유산으로 처리하였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탈권위 현상도 이런 흐름의 심화·확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쩌면 오늘의 우리 사회는 서구보다 더 급진적인 형태로 탈권위 현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근자에 확산되고 있는 혐오 현상 역시 이 같은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과연 바람직한가? 이를 좀 더 근본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리는 ‘권위’가 도대체 무엇이며, 이것이 인간 삶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 묻지 않을 수 없다. ‘권위(auctoritas)’란 본래 ‘원제작자’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auctor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무언가를 최초로 이루어낸 사람에게 권위를 부여하곤 한다. 이 점에서 권위는 일방적으로 명령하고 지배하는 권력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권위는 상대의 인정과 수용이 없이는 성립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진정한 권위는 소통과 이해의 과정을 요구한다. 일방적 주장이나 전달은 결코 권위를 낳을 수 없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갑질에 대한 혹독한 질타 역시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명령에 기초한 권력사회에 대한 저항이 아닐 수 없다. 권위를 권력으로 오용하거나 권력을 권위로 위장하는 기만에서는 그 어떤 온전한 소통도 이해도 이루어질 수 없으며, 따라서 인정과 수용도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진정한 권위는 수평적 소통·이해와 인정·수용을 통해서 가능하다.

 

성찰하는 질문 문화로 진정한 교권 회복 
  오늘날 우리 사회의 권위 상실은 소통이 아니라 명령이, 인정이 아니라 강압이 낳은 부당한 권력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같은 현상은 우리 교육계에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교육자가 피교육자에게 일방적으로 답을 전하고 수용하기만을 요구한다면, 거기에는 권위가 아니라 권력이 자리할 수밖에 없다. 교권은 교육자의 권력이 아니라 권위여야 한다. 이 권위는 교육자와 피교육자 사이의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소통적 관계에 기초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전달식 교육을 넘어 대화식 교육으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교육자의 진정한 권위는 답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진지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데 있다.


  이제 우리의 교육계가 교육자와 피교육자 사이에서 제대로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서로 정성을 다해 비판하고 성찰하는 질문의 문화를 마련해야 한다. 이런 진지한 질문은 서로의 무지(無知)를 자각하게 하는 과정이자 서로를 존엄한 존재로 일구어가는 과정이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해서 비로소 참된 권위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서로가 갑질을 하고 비난하고 혐오하는 사회는 권위가 아니라 권력의 사회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일찍이 철학자 아렌트가 권위를 청산하려는 서구 근대 자유주의가 이기주의로 전락한 점을 지적했듯이, 우리의 탈권위주의도 이런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우리가 이런 상황에 처하지 않기 위해서는 권위와 권력의 악순환 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이는 우리가 소크라테스적 질문 정신으로 돌아가 비난이 아니라 비판에, 공격이 아니라 소통에 참여할 때 가능하다. 이는 우리의 교육이 담당해야 할 근본 과제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는 답 전달 중심의 암기교육을 넘어 진지하게 질문하고 근원적으로 사유하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렇게 질문에 개방된 소통교육이 이루어질 때 교육계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도 참된 권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권위주의와 냉소주의라는 어두운 터널도 빠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