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이달의 기사 전체보기

특별기획 2 -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국민의 디지털 역량 키운다!

글 _ 이상범 교육부 미래교육전략팀장

  우리 생활에서 스마트폰 없는 생활을 상상할 수 있을까? 버스와 택시를 기다리는 일, 음식을 주문하거나 물건값을 지불하는 일, 여행 정보를 조사하는 일도 스마트폰으로 이뤄진다. 이미 디지털 세상이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지난 2~3년간의 코로나19 방역 상황을 거치면서 우리 생활 전반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더 빨라졌다. 앞으로도 속도의 가감은 있겠지만,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라는 방향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첨단기술 분야뿐 아니라, 금융, 교통, 쇼핑, 행정, 교육 등 다양한 전공과 직업 세계에서 디지털 기술에 친숙한 인재가 필요하다. 



스마트폰 많이 사용하지만 제대로 사용하는 비율 낮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이 디지털 사회를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하기에는 조심스럽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들의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은 뉴질랜드, 핀란드, 네덜란드 등보다 낮은 편이며, OECD 평균 수준이다. 또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 따르면, 만 15세 청소년의 ‘사실과 의견을 식별하는 역량’은 OECD 평균이 47.4%인데 비해, 우리 청소년은 25.6% 수준으로 조사 국가 중에서 최하위권이었다.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지만, 제대로 활용하거나 이해하는 수준은 높지 않다는 것이 국제적 평가다.


  한편, 세계 각국은 초·중등교육에서 정보학, 컴퓨팅 언어, 인공지능 등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고 해당 수업시수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 3월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30년까지 2,000만 명의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를 확보(현재 780만 명 수준)하고 모든 성인의 최소 80%가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을 갖추도록 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기사 이미지

국민 누구나 디지털 인재가 될 수 있다

  정부는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여 지난 8월 22일,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하였다. 인재 양성을 총괄하는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관계부처가 함께 30여 차례의 현장 방문과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마련한 방안이다. 이번 종합방안은 향후 5년간(’22.~’26.) 양성할 디지털 인재의 목표를 100만 명으로 제시하고 학교, 대학, 민간이 초급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수준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인재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빅데이터, 메타버스,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개발, 활용, 운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인재다. IT분야 등 첨단기업의 개발자를 포함해서 각자의 전공과 직장에서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적절히 활용할 줄 아는 인재라면 누구나 디지털 인재다. 



향후 5년간, 디지털 분야의 인재 100만 명 양성

  정부의 재정지원 수혜자를 기준으로, 디지털 분야의 인재 양성 규모는 2021년 현재 약 9만 9천 명이다. 향후 5년간의 인재 수요는 약 73만 8천 명(초급 9만 명, 중급 52만 명, 고급 12.8만 명)으로 예상되지만,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여 그 수요는 더 커질 것이다. 정부는 연평균 양성 인력을 지금의 2배 수준인 20만 명으로 확대하여 초급 16만 명, 중급 71만 명, 고급 13만 명의 다양한 인재를 5년간 양성할 계획이다. 정책의 방향도 전문기술 인재와 함께, 각자의 전공 분야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재,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에 친숙한 인재를 포괄적으로 양성하고, 분야별로 초·중·고급의 인재가 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기사 이미지


  먼저, 첨단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고급인재가 양성되도록 선도대학들을 육성할 계획이다. 수도권과 지방의 대학들이 함께 교육과정을 개발·공유하는 ‘디지털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SW 전공자를 확충하는 ‘SW중심대학’ 등의 재정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4단계 두뇌한국(BK)21사업을 통해 신산업·융복합 분야 교육연구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AI, 메타버스, 빅데이터 등 전문 분야별 대학원을 설치 운영하여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첨단분야는 학·석·박사 통합과정을 통해 5년 6개월 만에 박사학위를 갖는 고급인력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대학이 보유한 연구성과와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관련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실전 경험을 갖춘 인재가 양성되도록 하는 등의 지원책도 계획 중이다. 우수한 장비와 현장 전문가를 보유한 기업이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과 협력할 수 있도록 첨단분야 계약학과의 모집정원 한도를 확대하는 등의 규제도 개선할 것이다.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재들은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활약할 수 있다. ICT 역량이 높을수록 고용 가능성과 임금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분야가 아닌, 인문·사회 계열 등 비전공 학생들도 대학 재학 중에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6개월 정도의 집중 교육과정(부트캠프)을 운영하고, 취업준비생 등에게는 교육훈련기관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직업훈련 과정(K-Digital Training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초·중등 정보교육 강화··· 디지털 친숙도 제고

  한편, 미래세대의 디지털 친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정보 수업을 현재보다 2배 이상 확대 편성할 예정이다. 초등학교에서는 현재 17시간에서 34시간으로, 중학교에서는 현재 34시간에서 68시간으로 수업 시간을 확대한다. 현행 SW 코딩교육에 AI와 빅데이터 등 신기술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발달단계에 맞게 부담 없이 코딩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정보교육은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면서 모두가 함께 역량을 갖추어 가는 교육이 될 것이다. 또 학교 간·지역 간 디지털 교육의 격차가 완화될 수 있도록 방학 기간 등을 활용한 SW·AI 캠프를 전국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보교육 확대에 대비해 선생님들의 재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적정규모의 정보교육 담당 교원을 배치할 예정이다. 스마트스쿨 사업을 통해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부문도 차질 없이 준비 중이다.

기사 이미지

성인들의 디지털 문해력과 역량 향상 지원

  이번 종합방안에는 일상생활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노인, 어르신 등이 겪을 수 있는 현실적 어려움이 해소되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등 900개소에 구축된 ‘디지털 배움터(과기정통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집 근처에서 편하게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17개 시도에 구축되고 있는 ‘디지털문제해결센터(교육부, 시도교육청)’는 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교육 지원뿐 아니라, 지역 주민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2024년부터는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역량을 정기적으로 진단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대학 교양 수준의 디지털 교육을 희망하는 경우, K-MOOC(온라인 공개강좌)를 통해 첨단분야 석학들의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K-MOOC에는 ’22년 기준으로 138개의 강좌가 탑재되어 있으며, ’22년 2월 초에 이미 36만 명의 수강생이 강의를 신청한 바 있다.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새 시대 대비한 인재 필요

  우리나라 공교육의 역사에서 가장 모험적이었던 정책으로 초등 의무교육을 손꼽는 전문가들이 많다. 해방 당시 문맹률이 80%에 가까웠던 나라가 전쟁통 피난 천막에서, 마을 어귀 정자나무 아래에서 기초 문해교육을 실시했고, 먹고살기 힘겹던 시절에도 매년 국가 총예산의 10%가 넘는 돈을 쏟아부으며 초등 의무교육을 완성했었다. 이러한 과감한 투자는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민주화의 밑거름이 되었다.


  우리는 세계사적인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70여 년 전에 과감하게 초등 의무교육을 결단했던 것처럼,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도전적인 인재 양성이 필요한 때이다. 인공지능, 메타버스, 사물인터넷 등이 일상이 되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국민들이 저마다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인재 양성에는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전쟁통에도 초등 의무교육을 준비했던 역사를 모범 삼아, 미래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지금부터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초·중등교육부터 대학·평생교육까지 전 주기적 교육 체제 내에서 희망하는 모든 국민들이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학교, 대학, 직업훈련기관들을 지원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인재 양성 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빈틈없이 정책을 이행할 것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