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병아리를 부화한 삼남매
글 김정희 광주학운중·학운초 학부모 코로나19로 등교를 하지 못한 중학교 1학년, 초등학교 5학년·3학년 삼남매의 하루가 부산하고 바쁘다. 우리 부부가 모두 출근하면 삼남매가 남아서 원격 수업을 하고, 같이 라면도 끓여 먹고, 손잡고 뒷동산 산책을 가기도 간다. 게다가 집에 있는 동안 직접 병아리를 부화해서 온 집안이 시끄럽지만 즐겁다. 늘 누군가에게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어린이들이었지만, 이제는 당당하게 병아리를 부화해서 키우는 부모의 마음을 배운 것이다. 시작은 큰댁 시골에서 가져온 유정란이었다. 5년 전쯤 맏이 시현이가 병아리를 부화하고 싶은 소망을 가지고 인터넷에서 주문했던 종이상자와 온도조절 장치를 조립하여 만든 부화기를 간직하고 있었다. 부화기에 계란 4개를 앉히고 삼남매는 날마다 들여다보며 손꼽아 3주를 기다렸지만, 병아리는 부화하지 않았다. 삼남매의 실망은 이만저만 아니었다. 특히, 부화를 주도하며 동생들을 설득한 팀장 시현이의 실망이 특히 컸다. 그러나 시현이는 동생들 앞에서 이대로 물러설 수 없었다. 시현이를 팀장으로 2차 병아리 부화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병아리를 부화하기 위해서는 38도 가량의 온도를 유지하고, 하루 세 번 계란 굴려주기가 핵심이란 걸 다시 공부했다. 부화 기간 3주(21일)간 온도를 계속 유지해주고, 병아리가 알을 깨기 위해 자리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계란 굴리기는 19일이 지나면 멈춰야 한다는 것도 새로 배웠다. 유기농 매장에서 유정란 10개를 사서 다시 앉혔다. 삼남매는 각기 자기 계란에 이름을 짓고 껍데기에 적었다. 띠리, 롤리, 아롱이…. 아침잠이 없는 시현이는 아침, 하연이는 오후, 시윤이는 밤에 각각 계란 굴리기 당번을 했다. 막내 하연이가 깜빡하거나 시윤이가 일찍 잠들면 여지없이 시현이의 지청구를 들어야 했고, 동생들은 새 생명을 보기 위해 달게 받아들였다. 가족과 주말 하룻밤 여행을 갔던 날이 바로 부화 예정일이었다. 설렘과 긴장감으로 현관문